요즘 예금 이자 높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보셨죠?
하지만 예금은 돈이 묶이기 때문에 수시로 돈을 뺄 수가 없어 곤란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예금처럼 돈이 묶이지도 않는데 이자가 엄청 높은 통장들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파킹통장’이라고 하는 건데요.
파킹 통장은 차를 잠시 주차하는 것처럼 돈을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수시입출금식 통장을 의미하는 건데요.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파킹 통장은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어 비상금 등 목돈을 굴리기에 적합합니다.
4% 이자 제공!이라고 광고하지만 1억 이상을 예치시켜야 하는 금융상품도 많은데요.
그 상품들 제외하고, 진짜 쏠쏠한 파킹 통장 상품들만 모아보았습니다.
은행권

케이 뱅크 플러스 박스
연 2.7%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쌓인 이자를 받습니다.
최대한도는 3억 원입니다.
카카오 뱅크 세이프 박스
연 2.6%
하루만 맡겨도 금리를 주는 진짜 파킹 통장입니다.
최대한도는 1억 원입니다.
산업은행 KDB HI 입출금 통장
연 2.5%
한도가 없는 파킹 통장입니다.
매달 이자에서 세금을 떼고 나머지를 원금에 포함하는 방식입니다.
토스 뱅크 통장
연 2.3%
한도가 없는 파킹 통장입니다.
‘지금 이자 받기’ 기능이 있습니다.
매일 원하는 때 한번 이자를 받기 때문에 일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저축은행’ 파킹통장들이 있는데, 이 저축은행들은 이자를 더 많이 줍니다.
저축은행

에큐온 저축은행 머니 쪼개기 통장
연 4%
1인 최대 5개 계좌 개설 가능합니다.
매월 셋째 주 금요일 기준으로 계산하여, 다음날 지급합니다.
최대한도는 계좌 잔액을 모두 합해 2천만 원입니다.
웰컴 저축은행 직장인 사랑 보통 예금
연 3.8%
기본금리 연 2.3%
100만 원 이상 급여 이체 +연 0.5%(진짜 급여가 아니더라도 정기적으로 입금되면 가능)
개인 정보 수집 이용 및 멤버십 가입 이용 동의 +연 0.5%
CMS 또는 지로 자동 납부 1건 이상 +연 0.5%의 우대금리를 적용합니다.
한도는 제한 없습니다.
OK저축은행 OK세컨드 통장
연 3.5%
기본금리 연 3%
오픈 뱅킹에 해당 통장을 등록 시 0.5% 우대 금리를 적용합니다.
한도는 제한 없습니다.
페퍼 저축은행 페퍼스 파킹 통장
연 3.2%
5천만 원 이하에 대해서는 연 3.2%
5천만 원 초과 금액은 연 1%의 금리를 적용합니다.
SBI저축은행 사이다 뱅크 입출금통장
연 3.2%
1억 원 이하에 대해서는 연 3.2%
1억 원 초과 금액은 연 0.2%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은행권 VS저축은행권의 파킹 통장 금리 비교였습니다.
예치 금액과 상황에 맞춰 최대 이자 받으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추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