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어떤 에어컨 쓰고 계신가요?
요즘엔 ‘정속형’보다는 ‘인버터형’ 에어컨이 대부분인데요.
각 유형의 에어컨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1~2년 만에 냉방비가 몇 백만원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이제 슬슬 시작하는 에어컨의 계절!
아래 내용 꼭 확인하시고 냉방비 팍팍 아끼시기 바랍니다.
인버터 VS 정속형
일단 우리집 에어컨이 인버터형인지 정속형인지부터 알아야합니다.
인버터
설정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실외기가 돌아가지 않고 내부 팬만 돌아감.
구별법: 2011년 이후 모델, 에어컨에 부착된 전기 안전관리법 표시를 확인해 전격 중간, 최소로 구분되어있음
정속형
설정 온도에 도달해도 실외기가 계속 돌아감
구별법: 2011년 이전 모델, 에어컨에 부착된 전기 안전관리법 표시를 확인- 전격이 분할되지 않음
장시간 이용할수록 실외기 작동을 멈추는 인버터 에어컨이 정속형보다 전력 소모가 적습니다.
※확인이 어려울 경우 모델명 확인해 인터넷으로 검색
1. 에어컨 상태에 맞춰 틀기
인버터 :
적정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 가동이 멈춥니다.
계속 켜놓는게 전력 소모가 적으며, 적정 온도에 빨리 도달할수록 전력을 적게 쓰므로 처음에 ‘강하게’ 켠 후 적정온도를 유지합시다.
정속형 :
켜진 동안 실외기가 꾸준히 돌아갑니다.
1시간 동안 풀로 틀어서 온도를 낮춘 후 희망 온도를 적당히 높게 올려놓아 유지합니다.
(더 절약하고 싶으시다면 꺼도 됩니다.)
공통사항 :
반드시 선풍기를 같이 틀어줍니다.
이때 선풍기는 천장 방향으로 올려서 공기 순환이 잘 되도록 켜줍니다.
2. 에어컨 필터 청소
에어컨 필터 청소는 사용하기 전. 그리고 2주에 한번, 늦어도 1달에 1번은 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공기가 들어오는 방향이 아닌 반대 방향으로 물을 뿌려서 청소해주세요.
이렇게만 해도 냉방 효율이 약 5%가량 올라갑니다.
3. 실외기 주변 청소
에어컨 실외기 주변에 물건이 있다면 냉방 효율이 떨어집니다.
만일 실외기에 직사광선을 받는다면 덮개나 그늘막을 설치해 주는 게 아주 좋습니다.
(냉방 효율이 10% 증가하니, 냉방비도 10% 감소하겠죠?)
+1. 에어컨 기타 상식
- 제습과 냉방은 원리가 같기 때문에 굳이 제습으로 튼다고 전기가 절약되지는 않습니다.
- 에어컨 바람은 천장을 향하게 해서 공기가 빨리 순환되게 하면, 냉방효율이 좋아집니다.
- 에어컨 가동 전에 실내 환기를 하면 냉방비를 아낄 수 있습니다.
이 3+1가지만 기억하시고 저렴하고 시원한 여름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오늘의 추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