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이제 보일러 돌리고 계시죠?
그런데 들으셨겠지만 난방비가 전체적으로 대폭 오를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어둠속에도 희망은 있는 법.
지역난방인 경우 계량기에 ‘이 표시’ 하나만 확인하면 난방비를 제대로 아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아래 내용 확인하시고 지금 즉시 계량기에 있는 ‘이 표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유량계 VS 열량계
일단 난방계량기를 찾으셔야 하는데요.
난방계량기는 보통 현관문 밖에 있거나 씽크대 아래 붙어 있습니다.
보통 이런식으로 생긴 녀석이니 어렵지 않게 찾으실 수 있는데요.
계량기는 작게 적혀 있는 측정단위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뉩니다.
이렇게 m3, ton으로 단위가 되어있으면 ‘유량계’이고,
MWh, Mcal로 단위가 되어 있으면 열량계입니다.
자, 먼저 핵심이자 결론부터 말씀 드리겠습니다.
유량계는 주기적으로 껐다 켜는 것이 좋고, 열량계는 낮은 온도로 쭉 켜두는게 좋습니다.
이유는 바로 측정 방식의 차이 때문입니다.
유량계
유량계는 보일러 배관을 통해 들어온 난방수의 양, 다시말해 ‘유량’에 따라 난방비가 부과됩니다.
난방을 틀어놓으면 당연히 난방수가 계속 들어오겠죠?
그렇기 때문에 난방을 계속 틀어놓으면 난방수가 쉴 새 없이 흘러들어와서 끝없이 계량기가 쭉쭉 올라가게 됩니다.
당연히 난방비도 끝없이 올라가게 되는데요.
이 때문에 수동으로 적절하게 난방이 되면 난방을 끄거나, 타이머를 통해 주기적으로 난방을 끄고 켜서 흘러 들어오는 난방수의 양을 줄여야 합니다.
그럼 열량계는 어떨까요?
열량계
열량계는 유량계와 조금 다릅니다.
열량계는 들어오고 나간 난방수의 양과 난방수의 ‘온도차’까지 계산합니다.
만약 난방수가 들어올 때 50도였다가 나갈 때 30도라면 그 20도의 온도차만큼 요금이 더 붙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열량계는 이 온도차를 줄이고 일정 온도를 유지해주는게 난방비 절약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다시 말해 열량계는 보일러를 끄지 않고 낮은 온도로 쭉 켜주는 것이 난방비 절약에 유리합니다.
정리
지역난방절약법
m³, ton 유량계 / Mwh, Mcal 열량계
유량계는 주기적으로 껐다 켜는게 좋음
열량계는 낮은 온도로 쭉 켜두는게 좋음
생각보다 간단하죠?
요즘 날씨 정말 추운데 오늘 바로 확인하시고 올 겨울 난방비 꽉꽉 절약해서 쓰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추천뉴스